google-site-verification: googleaee5186bd8b4d60d.html ent="725be9aca45e7bbc251692ae5e3e716dc2f3f254" /> google-site-verification=rGfX4MkHZcoxiw12A0EPSO9MQu9vTTfeZrdnxmnLX90
연속되는 아파트 하락 소식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현재 국내에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하락한 순위를 알아보자
화성시 아파트는 전년말 대비 - 4.06%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동탄 신도시 아파트 가격은 신고가 대비 3억 이상 떨어진 금액에 거래 중이다,.
최근에는 4억 원 하락 거래도 늘고 있다. 금리인상과 주택담보 대출이 연말까지 8%대로 치솟을 경우 이 같은 추세는 계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수원시 영통구 아파트의 경우 전년말 대비 - 4.09%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놀라운 것이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을 끌어올렸던 영통구의 아파트 가격이 대책 없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수도권 중에서 아파트만 놓고 보면 하락률 1위로 나타났다.
지난 26일 한국 부동산원에 의하면 2021년 12월 셋째 주부터 하락이 시작된 이후 36주째 연속 하락하고 있는 상태이다.
반년만에 3억에서 4억 넘게 떨어진 단지가 속출하고 있지만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세종시의 경우 전년말 대비 - 5.03%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세종시 아파트의 가격은 지난 1년간 단 한차례도 상승된 적 없이 57주 연속 하락을 하고 있다.
이처럼 아파트의 가격 하락세가 전국에서 눈에 띄게 하락하자 세종시는 시장부터 나서 아파트 규제를 풀어달라고 국토부에 건의한 상태이다.
그러나 국토부는 현재 경기도 5곳과 일부에 대해 조정대상, 투기과열지역 해제하였으나 서울, 인천. 세종 등 수도권에 대해서는 규제를 풀지 않고 있다.
대전의 경우는 36주째 아파트 가격이 추락하며 전년말 대비 -5.18%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급매물이 나와도 거래가 안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에 거주하는 사람 중에 이사를 고려중인 A 씨는 "최근 들어 대전시 아파트 가격이 2년간 너무 올라 낮아졌다고 해도 체감이 안된다"라고 한다.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너무 커서 하락해도 떨어졌다고 체감이 안된다는 이야기다,
지난해까지 대전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10.12%나 올랐다.
그중에서도 서구와 유성구는 작년 누계 상승률이 두 자릿수에 달할 정도로 대전시의 집값 상승을 이끌어온 지역으로 꼽힌다,
실제 급매물이 나와도 거래가 안되고 있는 것에 대해 "좀 더 떨어질 것을 기다리는 중이다"라는 사람들이 많다는 서구 부동산 중개업자의 말이다.
대구에서도 달서구는 전년말 대비 -5.76%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꺼번에 많은 신규 입주 물량이 쏟아지면서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나자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하락세는 보이고 있다.
작년 아파트 오름세가 한창이던 시기인데도 대구 달서구의 경우 6월에서 8월까지 매매 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달서구와 동구 지역에 공급 과잉지역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대구지역 분양대행사인 대영 레데코는 대구에서 신규 분양된 53개 아파트 단지 2만 7천187가구 중 달서구가 8개 단지 5천111가구, 동구가 11개 단지 5천594가구이다.
공급물량으로 계산하면 대구 전체의 비중에서 이 두 곳의 공급물량이 전체 물량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수요자보다 공급 물량이 넘치니 가격 하락은 당연한 일인 듯하다.
2023년 역전세 대란 몰려온다. 무주택자 내 집 마련 절호 찬스 (0) | 2022.11.14 |
---|---|
3억만 있다면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 잡아라, 전세로 내집 자금 가능 (0) | 2022.10.22 |
규제지역 해제 소식에 매물 순식간에 싹? 속지 말자. 달라지는 것은 전혀 없다 (4) | 2022.09.25 |
파주·평택·안성·동두천·양주 경기도 5곳 등 조정대상, 투기과열 지역 해제 명단 (2) | 2022.09.21 |
2023년 1월 1일부터 다주택자 개념이 바뀐다. 주택 수 보다 금액 세율적용, 부자 감세 논란 (0) | 2022.09.11 |
댓글 영역